예전 포스트에서 GitHub의 레포지터리를 생성하고, git remote 명령어를 사용하여 깃허브 원격저장소와 연동을 시키는 법을 포스트했었다.
[Git] git remote로 원격 저장소와 연동
remote 저장소? 인터넷,네트워크에 위치한 저장소 git remote? git 원격 저장소를 관리하는 명령어 새로운 저장소를 추가하거나 수정 및 변경이 가능 git remote 사용법 github에서 원격 저장소 생성 후 연
joroki.tistory.com
위의 포스트 단계에서는 git init 명령어를 사용하여 git 초기화를 진행했고, git remote add origin [url] 명령어로 원격저장소까지 연동을 시켰다.
이번에는 연동을 시켰으니 Git Bash 터미널을 사용하여 원격저장소에 작업 파일을 업로드하는 과정을 거쳐보겠다.
1. work라는 텍스트 파일을 생성
2. 'git add' 명령어를 사용하여 버전 관리에 등록
-git status 명령어를 입력하면 버전 관리에 등록 여부 확인이 가능하다.
3. git commit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 업로드시 원격저장소에 작업 내용을 남길 커밋 메세지를 등록
4. git push origin [브랜치명] 을 사용하여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. 이때 브랜치명은 프로젝트마다 달라 질 수 있지만 레포지터리 초반 생성시에는 'master'브랜치로 통일되어있다.
5. 원격저장소에 정상적으로 업로드가 된 것을 확인
- 업로드한 브랜치, 파일, 커밋 메세지, 업로드한 시간 까지 확인 할 수 있다.
여기까지가 흔히 얘기하는 Git의 가장 기초적인 add,commit,push 단계이다.
이 방법을 기반으로 자신의 소스코드를 보관 및 버전관리를 할 수 있으며, 협업시에도 각 작업내역,수정내역 등을 공유 할 수 있다.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Git 설치하기 (0) | 2023.09.11 |
---|---|
[Git] 터미널에서 branch 생성 및 이동하기 (0) | 2023.08.24 |
[Git] git remote로 원격 저장소와 연동 (0) | 2022.05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