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RUD?
CRUD는 데이터를 다루는 기본적인 작업에 대한 약어로, Create(생성), Read(읽기), Update(갱신), Delete(삭제)를 의미한다. CRUD는 주로 데이터베이스 및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개념이다.
1. Create - 생성
-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추가하는 작업을 의미한다.
- 예를 들면,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레코드를 추가하거나 웹 양식에 따라 새로운 항목을 만드는 작업이 Create에 해당된다.
2. Read - 읽기
- 데이터를 조회하고 읽는 작업을 의미한다.
- 예를 들면,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레코드를 검색하거나,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작업이 Read에 해당된다.
3. Update - 갱신
- 데이터의 내용을 수정하거나, 업데이트를 하는 작업을 의미한다.
- 예를 들면,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를 수정하거나, 웹 양식을 통해 기존 데이터를 갱신하는 작업이 Update에 해당된다.
4. Delete - 삭제
-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제거하는 작업입니다.
- 예를 들면,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를 삭제하거나,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삭제 버튼을 통해 데이터를 제거하는 작업이 Delete에 해당된다.
HTTP 기본 네가지 메소드 ?
HTTP프로토콜 수준에서 정의되는 것이며, 이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데 있어 마크업 언어인 HTML, 프로그래밍 언어인 Javascript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. 4가지의 기본 메소드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간의 통신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.
1. GET
- 주로 정보,데이터 가져오는데 사용 된다.
- URL 파라미터를 통해 데이터를 서버로 요청한다.
- 해당 요청시, 요청이 브라우저 url창에 노출됨으로 보안적인 부분에서 민감한 정보는 GET 메소드로 요청을 해서는 절대 안된다.
axios.get('https://api.example.com/get-data').then( response => {
//get요청 성공시 데이터 처리
console.log(response.data);
}).catch( error => {
//에러 처리
console.error(error);
});
2. POST
- 주로 정보,데이터를 서버로 보내는데 사용 된다.
- 데이터는 요청 본문(Request Body)에 포함되기때문 URL에 요청 정보가 노출되지 않는다.
- 주로 사용되는 곳은 로그인 정보, 사용자 등록, 파일 업로드와 같이 보안에 민감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.
axios.post('https://api.example.com/post-endpoint',{
data: 'post 요청 할 데이터'
}).then( response => {
//post요청 성공시 데이터 처리
console.log(response.data)
}).catch( error => {
//에러 처리
console.error(error);
});
3. PUT
- 서버의 데이터를 업데이트 또는 수정할 때 사용된다.
- 요청 본문에 업데이트 할 데이터를 넣어서 보낸다.
- 주로 회원 정보 수정, 게시판 수정, 상품 정보 수정 등과 같은 수정,업데이트 기능에 사용 된다.
axios.put('https://api.example.com/put-endpoint',{
updatedData: "업데이트 할 data"
}).then( response => {
//put요청 성공한 경우 데이터 처리
console.log(response.data);
}).catch( error => {
//에러 처리
console.error(error)
});
4. DELETE
-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삭체 요청 할 때 사용된다.
-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해 사용되며, 요청 본문에 삭제 할 리소스의 정보를 넣어서 보낸다.
- 주로 회원 탈퇴, 게시판 삭제, 상품 삭제 등과 같은 삭제 작업에 사용 된다.
axios.delete('https://api.example.com/delete-endpoint').then( response => {
//delete 요청 성공한 경우 데이터처리
console.log(response.data);
}).catch( error => {
//에러처리
console.error(error)
});
위의 HTTP 메소드들은 Restful API 및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의 생성,읽기,업데이트,삭제를 의미하는 CRUD와 관련 된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. 요청하는 메소드는 데이터의 성격과 목적에 따라 선택되며, 개발자가 이러한 메소드를 올바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
반응형
'Tip > TipConten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Postman] API 테스트를 쉽고 간단하게 도와주는 툴 (Feat. Restful API) (0) | 2023.10.27 |
|---|---|
| [개발] 'Attribute' 와 'property' 차이점 (0) | 2023.01.17 |
| [개발관련]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점. (0) | 2022.11.19 |
| [IT]유용한 웹,앱 아이콘 라이브러리 (0) | 2022.02.07 |